목록분류 전체보기 (73)
delpho
[ 들어가기 전 ] 서버 사이드 기술 스택을 보면, Servlet, JSP, Spring Framework, Spring Boot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모두 필요로 의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시간의 흐름 및 인과 관계를 기반으로 등장 배경과 발전 과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990년대 웹 기술의 발전부터 시작해,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왜 필요했는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한 내용입니다. 출처는 ChatGPT입니다. [ 1989년 - 1991 : www 등장 ] 1989년 팀 버너스 리에 의해 www가 제안되었습니다. 또한, 1991년 최초의 웹 사이트(CERN에서 운영)가 온라인에 등장했습니다. 프론트엔드는 매우 간단한 HTML 문서, 서버는 팀 버너스 리의 개인 Next 컴퓨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eKp9/btsGg2PT9nu/hkjWkzRaMBtDmvWKDpMY90/img.png)
[ 들어가기 전 ] 백엔드 개발을 위해 Spring 프레임워크를 다루게 됩니다. Spring Framework에는 서버 실행을 위해 Apache Tomcat을 따로 다운로드받아 연동해야하고, Spring Boot에는 이것이 자체적으로 내장되어있어 간편하게 실행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Apache Tomcat이 WAS의 역할을 한다라고는 알고있었는데, Apache HTTP Server라는 Web Server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Web Server와 WAS는 백엔드를 공부하면서 자주 들어본 단어지만, 이 두 개념이 여전히 헷갈리기에 여러 출처를 기반으로 한번 정리하고자 합니다. 출처는 하단에 모두 적어놓겠습니다. [ Web Server (ex. Apache HTTP Server, Nginx..
Think 1. 주어진 N의 범위를 보고, 일반적인 순열 알고리즘으로는 시간초과가 나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문제풀이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 https://nanyoungkim.tistory.com/233를 참고했다. 3. 순열의 경우의 수 = 팩토리얼인 사실을 활용한 풀이방식이다. 범위만큼의 팩토리얼을 미리 초기화하고, k에 순열 경우의수를 빼면서 값을 찾거나, 순열 값 이전까지 탐색하면서 k의 값을 구하는 방식이 되게 인상깊었다. 제출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test { static int N..
Think 1. 하 DP.... 정말 어렵다 문제에 주어진 조건을 성립하면서 DP로 푸려는 아이디어가 어려웠다. 2. https://st-lab.tistory.com/132 를 참고했다. 제출 코드 (Top-down)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test { static int n; static int sequence[]; static Integer dp[];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